퀀트 투자 전략은 시간이 지나도 수익률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독일인 야콥스 교수와 뮐러 교수가 2016년 선보인 논문이 이를 증명한다. 이 논문의 결과는 전 세계 시장에서 미국만 뺀 모든 시장이 퀀트 투자 수익률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오늘은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퀀트 전략 공개 후 수익률 결과
2016년 독일 만하임 대학 야콥스 교수와 하이브론 대학 뮐러 교수는 퀀트 투자 전략 공개 후 수익률이 없어지지 않는지 의구심이 들어 관련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1984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 39개국의 시장에 공개된 퀀트 전략이 얼마나 수익률을 유지하는가를 알아본 실험이다. 논문 공개 전 백테스트를 진행한 시기의 평균 수익률과 논문 공개 후 실제 수익률을 비교한 실험이었습니다. 결과는 전 세계 39개국 중 미국만 뺀 38개국은 전략 공개 후에도 수익률을 유지했다는 것입니다. 왜 하필 미국만 수익률이 감소했는지, 그리고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30년 동안 퀀트 전략 수익률이 유지될 수 있었을까요?
2. 퀀트 전략이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
퀀트 투자 전략이 전세계전 세계 대부분의 시장에서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4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퀀트 투자 대중화 정도에 따라 퀀트 수익률 유지 여부가 결정됩니다. 미국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선진화된 시장으로, 수치와 통계에 입각한 퀀트 투자는 이미 대중적인 투자 방법입니다. 수많은 헤지펀드가 더 좋은 전략을 찾기 위해 머리를 쓰고 있고, 개인 투자자들도 퀀트 투자를 적극적으로 이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전략이 공개되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많은 사람이 그 전략을 사용합니다. 반면에 다른 여러 나라는 미국만큼 퀀트 투자가 대중화되어있지 못합니다.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대체로 가치투자와 차트투자가 가장 대중적인 투자방법입니다. 그래서 퀀트 투자 전략이 공개가 되어도 그 방법대로 투자하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수익률이 유지되는 것입니다. 둘째, 위험 수준입니다. 퀀트 투자 전략이 공개되느냐 안되느냐는 중요치 않고 그 전략의 위험 수준에 따라서 수익률이 유지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 논리는 파머 교수로 대표되는 효율적 시장가설 학파가 주로 주장하는 것입니다. 시장은 효율적이기 때문에 위험 수준에 따라서 수익률이 결정되는 것이 이론적으로 옳다는 것입니다. 셋째, 멍청한 투자자들 때문입니다. 아무리 좋은 전략이 공개되어도 인간은 같은 실수를 반복하기 때문에 퀀트 전략 수익률이 유지가 된다는 것입니다. 앞서 작성한 글에서 알아보았듯이, 인간의 두뇌는 온갖 편향에 휘둘리기 때문에 투자에는 완전히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손실 회피 편향, 확증 편향 등의 편향은 인간의 본질적인 특징이기 때문에 아무리 시간이 지나고 전략이 공개되어도 유지가 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주변을 보면 대부분 개인 투자자들은 공부를 하지 않고, 실패한 투자 전략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런 투자자들은 본인들이 똑똑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투자에 온갖 주관적 생각들을 투영합니다. 이 과정에서 확증 편향이 개입되는 것입니다. 본인이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실수를 범하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네 번째, 해고 위험입니다. 전 세계 투자 회사는 대체로 직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만약 이 직원들이 수익률이 높은 퀀트 전략을 사용해서 3번 연속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다면, 이 직원은 해고될 것입니다. 이것이 금융계의 현실입니다. 퀀트 투자 전략은 장기적 통계로 수익이 난다는 것을 의미하지, 매번 같은 수익률이 나지는 않습니다. 때문에, 연속으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 회사는 그 위험을 감내하지 않습니다. 만약 피터 린치 정도의 헤지 펀드 투자자가 3번 연속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다면, 대부분 그럴 수 있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투자 회사 직원은 그런 이해를 바랄 수가 없는 것입니다. 다섯 번째, 전략에의 불신입니다. 모든 퀀트 전략이 그렇듯이 장기적으로 운영했을 때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인데,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은 참을성이 없어서 몇 번 수익률이 지지부진하면 전략에 불신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아무리 전략이 공개되어도 수익이 안나는 구간을 버티지 못하고 많은 투자자들이 전략을 버리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전략을 쓰는 사람의 수급이 조절된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필자는 이 이론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양적완화 사례 분석 (0) | 2024.01.14 |
---|---|
양적 완화, 찬성과 반대 논리 알아보기 (0) | 2024.01.12 |
경제 4계절과 주요 자산과의 관계 (0) | 2024.01.04 |
영구 포트폴리오, 강점과 원리 분석 (0) | 2024.01.04 |
자산 배분의 3대 원칙 안내 (0)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