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4계절은 경제를 인식하고 예측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개념입니다. 그리고 각 경제 계절마다 오르는 자산과 내리는 자산을 알아두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필수적이라고 하겠습니다. 경제 4계절을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자산 배분이 중요한 것이죠. 오늘은 경제 4계절과 주요 자산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겠습니다.
1. 경제 4계절이란
경제는 날씨와 비슷합니다. 날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수없이 많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맑다, 흐리다, 덥다, 춥다' 등의 몇 가지 표현으로 날씨를 분류합니다. 또한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날씨를 구분하기도 합니다. 경제 또한 날씨처럼 수많은 변수가 존재하지만, 몇 가지 성질을 가지고 4계절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인플레이션 계절입니다. 이때는 물가가 오르고 경제성장률도 높습니다. 둘째, 스태그플레이션 계절입니다. 이때는 물가는 오르는데, 경제성장률은 낮습니다. 셋째, 골디락스 계절입니다. 이 골디락스 계절은 가장 좋은 경제 계절이며, 물가는 내리는데 경제성장률은 높은 계절입니다. 넷째, 디플레이션 계절입니다. 물가도 낮고, 경제성장률도 낮은 계절입니다. 그러면 투자자가 왜 경제의 4계절을 알아야 할까요? 경제의 4계절에 따라 오르는 자산군이 있고 내리는 자산군이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의 4계절과 그에 따르는 자산군의 변화를 알아야 투자자는 잃지 않고 우상향 하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인플레이션 계절에는 금, 개발도상국 주식이 오르며 채권과 현금이 떨어집니다. 스태그플레이션 계절에는 금과 현금이 오르고, 개도국과 선진국 주식, 채권이 내립니다. 골디락스 계절에는 선진국 주식과 채권이 오르며, 금과 현금이 떨어집니다. 디플레이션 시기에는 국채와 현금, 금이 떨어지고, 개도국과 선진국 주식이 오릅니다. 이 관계는 너무 중요하기 때문에 외워놓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챕터에서는 이 자산들 중에서도 영구 포트폴리오에 쓰이는 주요 4개 자산과 경제 4계 절간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경제 4계절과 주요 자산과의 관계
먼저 주식과 경제 계절과의 관계를 알아보겠습니다. 경제 성장률이 기대치보다 높으면, 소비와 투자가 촉진되고 기업의 이익이 올라갑니다. 그래서 주가가 오릅니다. 반대로 경제 성장률이 낮으면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고 기업의 이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주식 투자자는 손해를 봅니다. 또한, 물가상승률이 높으면 주로 원자재를 파는 개발도상국의 기업이 이익을 보기 때문에 주가가 오르고, 비싸진 원자재를 사야 하는 선진국 기업의 이익은 줄어들고 주가는 내리게 됩니다. 반대로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면 개발도상국 주식은 내리고, 선진국 주식이 오릅니다. 두 번째, 채권입니다. 채권의 가격은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과 반비례합니다. 경제성장률이 낮을 때, 중앙은행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서 금리를 내립니다. 채권의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오르게 됩니다. 그리고 경제에 위험신호가 발생하면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인해 망하지 않을 것 같은 선진국 채권에 대한 수요가 몰려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물가상승률이 높으면 채권에는 치명적입니다. 채권은 원금과 이자가 확정되어 있는 상품인데 물가가 오르면 투자자가 받을 돈의 실질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죠. 또 중앙은행이 물가상승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기 때문에 채권 가격은 하락합니다. 셋째, 금입니다. 금은 물가상승률이 높을 때 빛을 발하는 자산입니다. 물가상승률이 높아서 화폐가치가 하락할 때,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 금의 수요가 많아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경제성장률이 낮을 때,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인식되어 가격이 오릅니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이 낮을 때는 그나마 주식은 배당을 지급하고, 채권은 이자를 지급하는 데 반해, 금은 100년이 지나도 그냥 돌덩이일 뿐입니다. 생산성이 낮은 자산이기 때문에 힘을 못씁니다. 또한 경제성장률이 높을 때도 주식과 채권에 밀려 빛을 보지 못합니다. 넷째, 현금입니다. 현금의 장단점은 명확합니다. 안전한 대신 기대수익률이 낮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현금 가치는 하락합니다. 그러나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상황이 오면 주식, 채권, 금 등 모든 자산이 하락하는 반면에 현금은 그 가치가 오르게 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적 완화, 찬성과 반대 논리 알아보기 (0) | 2024.01.12 |
---|---|
퀀트 투자 전략이 살아남는 이유 (0) | 2024.01.08 |
영구 포트폴리오, 강점과 원리 분석 (0) | 2024.01.04 |
자산 배분의 3대 원칙 안내 (0) | 2024.01.03 |
주식 투자로 돈 버는 3가지 방법 (0) | 2024.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