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절, 리스크 관리의 핵심입니다. 대부분의 압도적인 성과를 낸 투자자들은 손절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현존하는 최강의 트레이더 마크 미너비니도 투자에 있어서 손절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오늘은 미너비니가 얘기한 손절의 법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원금과 수익금을 구분하라
아마추어 투자자이 가지고 있는 흔한 잘못된 습관 중 하나가 있다. 그것은 수익금과 원금을 구분하는 것이다. 이런 잘못된 습관을 가지고 있는 아마추어 투자자들이 하는 생각은 대개 이렇다. '수익금이 많이 생겼으니까 이제 더 공격적으로 투자해도 되겠다.', '어차피 원금만 잃지 않으면 된다.' 이런 식의 생각들을 많이 한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천재적인 투자자인 마크 미너비니는 어제의 수익금은 오늘의 원금이고 어제와 오늘의 투자 원칙은 투자 금액에 따라 달라지지 않아야 한다고 말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마크 미너비니는 손절의 원칙을 얘기하고 있는 것이다. 아마추어 투자자들은 수익금은 잃어도 되는 돈이기 때문에, 악재가 생겨 손실이 생겨도 손절하지 않고 다시 반등할 날만 기다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든 자산이 마찬가지이지만, 특히 주식은 리스크가 높은 자산으로서 추세를 따르는 경향이 높습니다. 오를 때는 상승 추세를 따라 지속적으로 오르다가도, 하락할 때는 하락 추세를 따라 줄줄 흘러내리는 경향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익금과 원금을 구분하지 않고, 손절 원칙을 설정하고 금액과 상황에 관계없이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손익 비대칭성
손익 비대칭성, 이것을 이해하면 손절이 왜 중요한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원금에서 50%를 잃으면, 다시 원금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100%를 상승해야 합니다. 원금에서 90%를 잃으면 원금 회복을 위해서 1000% 상승해야 합니다. 이 논리 구조를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원금 회복을 위해 50% 손실 이후 50% 수익이 아니라 100% 수익을 거둬야 하는 이유는, 주식 투자는 복리의 방식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2번 상승, 1번 하락한 경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2번 50% 수익을 거두고, 마지막 1번은 50% 손실이 생겼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총수익률은 12.5%이고, 연 수익률은 약 4%가 됩니다(1년에 한 번 수익률 계산을 한다는 가정). 주식 투자의 어마어마한 리스크와 스트레스를 감안했을 때, 연 수익률 4%로 만족할 투자자는 없을 것입니다. 4% 수준이면 조건이 좋은 은행 적금 수준의 수익률이며, 은행 적금은 무위험 투자 상품입니다. 이처럼 언뜻 보기에 성과가 좋아 보이는 2번 50% 수익, 1번 50% 손실의 결과도 마지막에 계산해 보면 은행 적금 수준의 투자가 되어버립니다. 그렇기에 손실 수준을 낮추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것입니다.
3. 비자발적 장기투자자가 되지 마라
미국의 전설적인 트레이더 제시 리버모어는 '사람들은 수익이 날 때는 트레이딩을 하고, 손실이 나면 갑자기 비자발적 장기투자자가 되기를 결정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그만큼 손실에 취약한 인간의 심리를 잘 나타내는 명언입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주식을 매수하기 전에 명확한 매도 계획을 수립하지 않습니다. 명확한 매도 계획이 없기 때문에, 수익을 예상한 종목에서 손실이 나면 그냥 무작정 수익으로 전환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인간의 심리상 본인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기 싫고, 무엇보다 손실을 확정 지어버리는 게 고통스럽기 때문입니다. 미국 하버드대의 벤 데이비드 교수의 약 7만 7천 개의 계좌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투자자들의 잘못된 투자 방식을 여실히 알 수 있습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투자자들은 큰 수익이 날 때까지 보유하기보다 큰 손실이 날 때까지 보유하는 경향이 높다. 둘째, 투자자들은 주가가 하락했을 때 추가 베팅을 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투자자들은 적은 손실보다 적은 수익을 취득할 확률이 높다. 이 연구의 결과는 워런 버핏이 했던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라는 명언과 정반대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투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손실 포지션에 있을 때 너무 느리게 매도하기 때문에, 적은 손실을 큰 손실로 키웁니다. 또한, 수익이 났을 때는 빨리 수익을 확정 짓고 싶은 마음에 큰 수익을 작은 수익으로 제한합니다. 이런 방식의 투자를 하는 투자자는 진지하게 은행 예금을 하는 것이 낫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주식 투자자를 위한 조언 4가지 (0) | 2024.02.12 |
---|---|
주식 투자 계획 4단계 (0) | 2024.02.08 |
기본소득 반대 논리 안내 (0) | 2024.01.24 |
기본소득 찬성 논리 정리 (0) | 2024.01.23 |
기본소득 도입 배경 알아보기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