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 2024. 2. 12. 18:11

초보 주식 투자자를 위한 조언 4가지

초보 주식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하는 조언 4가지를 소개드리겠습니다. 이는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 아니라 투자계의 전설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며, 투자의 기본 원칙이니 반드시 기억하셔야 할 내용입니다. 오늘 이 내용만 잘 기억하고 투자에 적용하셔도 적어도 잃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1. 손절선 설정 방법

손절선은 자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다. 정확한 통계를 바탕으로 설정해야 한다. 생명보험회사는 특정 연령별, 직업별로 평균 사망률을 기초로 보험료를 산정한다. 당연하게도 모든 사람이 평균 사망률 대로 사망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평균을 활용함으로써 적절한 보험료와 운영비를 설정하고 회사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주식 투자도 마찬가지다. 손절선을 설정할 때는 평균 승률과 평균 기대 수익률을 바탕으로 설정해야 한다. 승률과 평균 수익률은 투자자 본인의 성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경험적 결과를 활용해야 한다. 손절선은 평균 승률과 평균 수익률을 곱한 값에서 2를 나눈 지점으로 설정하면 무난하다. 평균 승률이 50%, 평균 수익률이 20%라면 손절선은 50%*20%*(1/2)=5%이다. 옳은 방식으로 거래를 하다 보면 경험이 쌓여서 수익률이 올라갈 것이다. 그러면 손절선이 15%까지도 올라가도 괜찮을까? 아니다. 최대 손절선은 10%까지다. 마크 미너비니는 본인의 경험칙에 따르면 10% 이상의 변동을 필요로 하는 주식은 잘못된 타이밍이거나 잘못된 주식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항복 선언을 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한다.

2. 손절 슬리피지 대응법

주가가 손절선에 도달해 손절하려고 하는데, 설정한 매도가보다 주가가 훨씬 급락하는 경우가 있다. 설정한 매도가보다 더 빠진 주가의 갭을 슬리피지라고 한다. 많은 투자자들이 슬리피지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다. 그러나 마크 미너비니는 슬리피지에 신경 쓰지 말고 다음 호가가 얼마든 최대한 빨리 매도하라고 말한다. 손절선에 도달했다는 것은 주가가 급락할 위험이 있다는 신호이기 때문에 작은 슬리피지에 얽매여선 안된다고 한다. 1%의 슬리피지는 추가 50%의 하락을 막아주는 거래비용이라 생각하는 것이 좋다.

3. 연속적인 매수 실패 대응법

연속으로 매수 실패를 맛본다면 두 가지 문제일 수 있다. 첫째는 종목 선정 요건과 타이밍이 잘못된 것이고, 둘째는 시장 환경 자체가 적대적인 것이다. 전반적인 시장 환경이 괜찮은데 계속적인 손절이 이루어진다면, 종목 선정 요건에서 빠뜨린 것은 없는지 재점검해야 한다. 또한, 적절한 타이밍에 진입한 것이 맞는지 차트 패턴을 다시 분석해봐야 한다. 그리고 시장 환경 자체가 적대적인 것이라면 거래 자체를 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현금을 보유하고 있거나 공매도를 고려해 볼 만한 시기이다. 그리고 연속적인 매수 실패에 대응하는 핵심적인 내용은 베팅 사이즈이다. 연속적으로 손절하게 되면 베팅 사이즈를 줄여야 한다. 보통은 손실을 보면 그 손실을 메워야 한다는 생각에 베팅 사이즈를 더 늘린다. 그러나 정확히 그 반대로 해야 한다. 지속적인 손실을 보면 베팅 사이즈를 점점 줄이고, 경험을 통해 승률이 올라가면 베팅 사이즈를 다시 올리는 것이 좋다.

4. 물타기, 최악의 거래 방법

주가가 하락하면 99%의 투자자들은 더 낮은 금액에 더 많은 물량을 모으기 위해 물타기를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99%의 투자자가 물타기를 하기 때문에 주변에 주식으로 성공한 사람이 없는 것이다. 대부분의 자산 시장에서 적용되는 제1법칙이 추세추종 법칙이다. 쉽게 말해 오르는 자산은 계속 오르고, 떨어지는 자산은 계속 떨어지는 추세가 강하다는 것이다. 이는 1800년대부터 이어져온 법칙으로, 인간의 본질적인 심리와 관계가 있기 때문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자산시장에 적용되는 법칙인 것이다. 이 추세추종 법칙의 관점에서 보면 물타기는 자산을 잃기 위해 전속력으로 내달리는 바보라고 밖에 설명할 수가 없다. 원수가 있다면 급락하는 주식에 물타기 하라고 조언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고수익 종목 특징 분석  (0) 2024.02.15
세파 전략 총론 요약  (0) 2024.02.14
주식 투자 계획 4단계  (0) 2024.02.08
리스크 관리의 기초, 손절의 법칙  (0) 2024.02.08
기본소득 반대 논리 안내  (0) 2024.01.24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