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한 주식 투자를 위해서는 매수하기 전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수 이전에 계획을 세워놓지 않으면, 변화무쌍한 주식시장에서 온갖 심리에 휘둘리며 자산을 잃을 것입니다. 오늘은 마크 미너비니의 주식 매수 전 비상대응계획 4단계를 알아보겠습니다.
1. 1차 손절라인 설정
주식을 매수하기 전에 손절 지점을 설정해야 한다. 미리 손절 지점을 설정하고, 주가가 그 포인트에 도달하면 뒤도 돌아보지 않고 매도 후 시장을 탈출해야 한다. 시장을 빠져나온 이후에는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에, 무엇이 문제였는지, 다시 재매수할 필요는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예상대로 주가가 오른다면 손절선을 주가가 오른 만큼 점진적으로 올리는 추적 손절매 기법을 써서 수익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특정 수익률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하락을 막기 위해 익절 하는 방어벽 전략도 사용할 수 있다.
2. 재매수
일부 건설적인 종목들은 1차 손절 이후 재매수 기회를 준다. 시장이 약세장이거나 변동성이 높을 때, 좋은 종목임에도 일시적으로 손절선 이상으로 하락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다른 상승 요소들이 아직 유지되고 있다면, 이 종목은 재매수할 수 있는 타이밍을 기다려야 한다. 한번 손절한 종목이라고 해서 포트폴리오에서 배제시켜 버리면 안 된다. 프로 트레이더들은 같은 종목으로 2~3번 시도해서 비로소 제대로 된 상승을 맛보곤 한다. 한 번 손절했다고 해서, 해당 종목을 감정적으로 대하고 자존심을 결부시키면 절대 안 된다. 때로는 첫 번째 상승 패턴보다 두 번째 상승 패턴이 강력할 때가 있다. 두 번째 상승에는 개미들을 털어내고 거래량과 함께 폭발적으로 상승할 확률이 높다. 그렇다고 상승을 기대, 가정해서 재매수하면 안 된다. 확실한 시그널이 있고, 거래량과 주가의 패턴이 상승의 패턴을 그릴 때 해당 종목에 재진입해야 한다.
3. 수익 실현
수익이 난 종목은 확실히 그 수익을 지켜야 한다. 꽤 그럴듯한 수익이 났음에도 다시 하락하는 것을 방치해 수익을 모두 반납하거나 심지어 손실을 보게 되면 매우 자괴감이 들 것이다. 수익이 오를수록 추적 손절매 기법을 활용해 손절매 선을 올림으로써 수익을 지켜야 한다. 매도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강세장 매도와 약세장 매도이다. 강세장 매도는 트레이더의 경험과 감이 중요한데, 차트 패턴과 거래량을 통해 상승의 에너지가 약해지는 타이밍을 잘 잡아야 한다. 약세장 매도는 주가가 하락반전되고 손절선에 도달하면 파는 방법이다. 이 둘 중 한 가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계획을 모두 세워놓고 강세장 매도 상황이 오면 강세장에서 매도하고, 그 패턴이 나오지 않는다면 약세장 매도를 해야 하는 것이다.
4. 블랙스완 대비책
주식시장에서는 전혀 예상치 못한 악재가 터지곤 한다. 보유한 주식의 회계부정 사태가 터진다거나, 대표의 횡령 등과 같은 예상치 못한 악재가 터지는 상황은 종종 생긴다. 이럴 경우에 갑자기 주식 거래가 정지되기도 하고 갑작스럽게 상장폐지되기도 한다. 이런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지 못하면 몇 년, 몇십 년간 불려 온 자산이 한순간에 휴지조각이 될 수 있다. 현명한 주식투자자라면 이러한 상황에 반드시 대비책을 미리 만들어 놓아야 한다. 이런 블랙스완에 대비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분산투자이다. 개별 주식들의 블랙스완에 대비하기 위해 10~20 종목에 분산투자해야 하며, 주식 시장 전체에 생길 블랙스완에 대비해 금, 채권, 원자재 등의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투자 해야 한다. 얼마 전 발표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주식 투자자들 중 5 종목 이하로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가 90%라고 합니다. 한국의 대부분의 주식투자자들이 실패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아무런 리스크에 대비하지 않고 악재가 터지면 터지는 대로 손실을 온몸으로 감내하는 투자는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이런 블랙스완이 닥치면 제대로 판단력을 유지할 수 있는 투자자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계획을 세워놓지 않으면 이성적인 판단으로 적절하게 대처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파 전략 총론 요약 (0) | 2024.02.14 |
---|---|
초보 주식 투자자를 위한 조언 4가지 (0) | 2024.02.12 |
리스크 관리의 기초, 손절의 법칙 (0) | 2024.02.08 |
기본소득 반대 논리 안내 (0) | 2024.01.24 |
기본소득 찬성 논리 정리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