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쉐어홈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경제
  • 홈
  • 태그
  • 방명록
경제

퀀트 투자 전략이 살아남는 이유

퀀트 투자 전략은 시간이 지나도 수익률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독일인 야콥스 교수와 뮐러 교수가 2016년 선보인 논문이 이를 증명한다. 이 논문의 결과는 전 세계 시장에서 미국만 뺀 모든 시장이 퀀트 투자 수익률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오늘은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퀀트 전략 공개 후 수익률 결과 2016년 독일 만하임 대학 야콥스 교수와 하이브론 대학 뮐러 교수는 퀀트 투자 전략 공개 후 수익률이 없어지지 않는지 의구심이 들어 관련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1984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 39개국의 시장에 공개된 퀀트 전략이 얼마나 수익률을 유지하는가를 알아본 실험이다. 논문 공개 전 백테스트를 진행한 시기의 평균 수익률과 논문 공개 후 실제 수익률을 비교한 실험이었습니다..

2024. 1. 8. 12:50
경제

경제 4계절과 주요 자산과의 관계

경제 4계절은 경제를 인식하고 예측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개념입니다. 그리고 각 경제 계절마다 오르는 자산과 내리는 자산을 알아두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필수적이라고 하겠습니다. 경제 4계절을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자산 배분이 중요한 것이죠. 오늘은 경제 4계절과 주요 자산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겠습니다. 1. 경제 4계절이란 경제는 날씨와 비슷합니다. 날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수없이 많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맑다, 흐리다, 덥다, 춥다' 등의 몇 가지 표현으로 날씨를 분류합니다. 또한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날씨를 구분하기도 합니다. 경제 또한 날씨처럼 수많은 변수가 존재하지만, 몇 가지 성질을 가지고 4계절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인플레이션 계절입니다. 이때는 물가가 오르고 ..

2024. 1. 4. 12:24
경제

영구 포트폴리오, 강점과 원리 분석

영구 포트폴리오는 자산배준 전략의 가장 기본이면서도 강력한 전략입니다. 오늘은 영구 포트폴리오가 어떤 전략인지 살펴보고, 역사적으로 그 결과는 어땠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이 전략이 왜 강력한 전략인지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영구 포트폴리오란 영구 포트폴리오란, 경제의 어떤 상황이 오더라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이라는 뜻입니다. 영구 포트폴리오는 투자 천재 해리 브라운이라는 사람이 1980년대 초 만든 전략입니다. 영구 포트폴리오 전략은 간단합니다. 미국 주식, 미국 장기채, 금, 미국 초단기채권(현금)에 각각 25%씩 자산 배분하고 1년마다 리밸런싱 하는 전략입니다. 초등학생도 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한 전략이지만 영구 포트폴리오는 45년간 CAGR 8.8%, MDD 12.5%의 대..

2024. 1. 4. 11:27
경제

자산 배분의 3대 원칙 안내

자산배분은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투자 법칙입니다. 미국의 한 저명한 투자자는 자산배분만으로도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90%를 설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산 배분만 잘해도 아름다운 노후를 그려나가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오늘은 이렇게나 중요한 자산 배분의 3대 원칙을 알아보겠습니다. 1. 우상향 하는 자산을 보유하라 자산 배분의 첫 번째 원칙은 적어도 물가상승률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상승하는 자산을 보유하라는 것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등락이 있을 수 있지만, 적어도 50년 단위로 봤을 때 꾸준히 우상향 하는 자산을 보유하라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샌프란시스코 연준에서 1870~2015년 16개국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요 자산군의 연평균 수익률을 발표했습니다. 먼저 부동산의 명목연평균수익률은..

2024. 1. 3. 23:01
경제

주식 투자로 돈 버는 3가지 방법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방법은 크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자산 배분, 마켓 타이밍, 종목 선정 방법입니다. 이 3가지 방법의 특징과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이 글을 읽고 나면 투자의 기본적인 지식을 얻고, 장기적으로 주식 투자 수익률을 높여줄 것입니다. 1. 자산 배분 자산 배분이란, 기대수익률과 MDD가 다른 여러 가지 자산군에 분산 투자하는 것입니다. 자산 배분에는 정적자산배분과 동적자산배분이 있습니다. 정적자산배분은 특정 자산군을 정해진 비율만큼 오랫동안 보유하고, 1년에 한 번 정도 각 자산군을 사고팔면서 다시 정해진 비율을 맞춰주는 방식입니다. 자산배분 앞에 '정적'이라는 단어가 붙은 이유는 한번 자산군을 매수하면 1년 동안 아무것도 안 하고 정적으로 보유만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적..

2024. 1. 2. 11:49
경제

변동성과 손실 최소화의 관계

손실 최소화는 투자의 핵심이라고 이전 글에서 설명드렸습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손익 비대칭성의 원리와 심리 요인에 의해 원금 복구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손실 최소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변동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변동성이 클수록 수익률은 낮다. 변동성이란, 가격이 오르고 내리는 정도를 뜻하는 용어입니다. 변동성이 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퀴즈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철수가 산 A주식은 10% 오르고 10% 내렸습니다. 영희가 산 B주식은 20% 오르고 20% 내렸습니다. 영숙이가 산 C주식은 30% 오르고 30% 내렸습니다. 광수가 산 D주식은 40% 오르고 40% 내렸습니다. 옥순이가 산 E주식은 50% 오르고 50% 내렸습니다. 여기서 가장 수익률이 낮은 사람은 누구일까요? ..

2024. 1. 2. 11:08
  • «
  • 1
  • 2
  • 3
  • 4
  • 5
  • 6
  • 7
  • »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경제
애드센스 광고 영역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이슈쉐어홈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